인기 글
-
behavioral-economics story
돈이 당신을 사악하게 만드나?
버클리 대학교 사회심리학과 교수인 폴 피프(Paul Piff)는 2014년 4월 TED 강연을 통해 자신의 실험 결과를 밝힌 적이 있다. 강연 제목은 es money make you mean?)>였다. www.npr.org/2014/04/04/295360962/does-money-make-you-mean Paul Piff: Does Money Make You Mean?Social psychologist Paul Piff describes how wealth changes behavior and how almost anyone's behavior can change when they're made to feel rich.www.npr.org피프 교수는 버클리 대학교 학생들을 여러 명 불러 두 명씩 짝을 ..
-
politics story
휘발 한동훈과 영수증 휘날리며
2023년 6월 23일 검찰의 특수활동비가 공개되었다. 이번에 공개된 검찰 예산 정보는 검찰총장과 서울중앙지검장이 쓴 특수활동비, 특정업무경비, 업무추진비의 집행 내역과 지출 증빙서류다. 하지만 검찰은 전자정보 형태가 아닌 종이로, A4용지 기준 16,735장을 복사해서 넘겨줬다. 윤석열 검찰 총장 시절 한 달 평균 8억원씩 특수활동비를 현금으로 사용특수활동비는 말 그대로 '특수한 활동에 지원되는 비용'이다. 1987년 민주화 이전에는 정보기관과 군부대 등 행정부 산하 소수기관에 한정해 배정됐지만, 민주화 이후에는 입법부(1994년)와 사법politics-economics-story.tistory.com 하지만 이렇게 제출한 자료조차도 74억원 이상의 증빙자료가 누락되어 있으며, 그나마 제출한 자료..
-
politics story
미신 경제학(voodoo Economics) 그리고 천공과 윤석열, 김건희
경제학 용어에는 'Voodoo Economics'라는 용어가 있다고 한다. 한경경제용어사전에 따르면 Voodoo Economics는 미신 경제학으로 번역된다. 여기서 부두(voodoo)는 미국 남부에서 행해졌던 일종의 주술적 종교를 의미하며, 미신경제학은 정부가 공약과 정책을 내걸지만 실제로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경우 '국민을 상대로 한 일종의 기만행위나 마찬가지'라는 의미에서 사용된다. 지금과 경제상황이 비슷한 1980년대 초 조지 H W 부시 등이 자주 애용해서 유명해진 경제용어다(한경 경제용어사전). 특히 미신 경제학(Voodoo Economics)은 "적극적인 감세 정책으로 기업에 돈을 펴 주면 그 돈이 경제를 성장시켜 온 국민이 잘 살게 된다"라는 레이건 전 미국 대통령의 낙수효과 주장에 대해 ..
-
politics story
한동훈 팬덤
2022년 봄, 대한민국에서는 월간조선을 시작으로 연일 '한동훈 팬덤' 기사를 쏟아내는 기사를 볼 수 있었다. 이러한 한동훈의 팬덤 기사는 9월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팬덤이란 특정한 인물이나 분야를 열정적으로 좋아하는 사람들 또는 그러한 문화현상을 이르는 단어다. 이러한 팬덤은 연예인이나 스포츠 스타에게서 흔히 볼 수 있지만, 범죄자에게서도 볼 수 있다. 1990년대 '희대의 탈옥수' 신창원도 뛰어난 패션 감각과 외모로 이른바 '신창원 신드롬'을 일으켰다. 이후 범죄자 최초로 팬카페가 개설됐고, 체포 당시 입었던 무지개색 셔츠는 품절 대란이 일어나는 등 블레임룩의 원조가 되기도 했다(22년 4월 18일, 일요시사). 김건희, 한동훈, 이재용 그리고 언론대한민국의 시사 관련 신조어 중 블레임..
-
politics story
박순애 거짓말 총정리
□ 계속된 거짓말‥그래도 변하지 않는 사실 후보자로 지명된 직후부터 박순애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여러 논문의 표절 의혹을 받아왔지만 늘 의혹을 일축했다. 명백한 표절 판정을 받아 논문이 취소되거나 '투고 금지' 처분을 받은 것도 아닌데 뭐가 문제냐는 거다. 하지만 MBC 보도 이후 이런 변명을 할 순 없게 됐다. 박순애가 학회로부터 '투고 금지' 징계를 받은 사실이 확인됐기 때문이다. 1번도 아니고 확인된 것만 무려 2번이다. 학술지에 게재된 '투고 금지 징계' 공지문과 징계를 결정한 조사위원들의 생생한 증언도 있습니다. 부정할 수 없는 명백한 사실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박순애는 ① 2011년 8월 한국행 정학 회로부터 '자기 논문 표절'로 논문 게재 취소와 2년의 투고 금지 징계를 받..